1편에서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진단의 어려움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오늘은 그 진단을 더욱 어렵게 하는 이유 중 하나로 진단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아스피 본인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이미 성인이 되어 결혼을 하고 가정까지 이룬 아스피들의 경우 대부분은 본인의 아스피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 성인이 되어 살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연구 자체가 80년대에 이루어졌고, 대중적으로 알려져 각광을 받게 된 것은 90년대 이후의 일인데다가 독일에서 시작된 연구가 미국에서 조명을 받고, 국내에 그 개념이 알려지게 된 역사를 생각한다면 사실상 국내에서는 밀레니엄 시대 이후에야 어느 정도 알려지게 된 개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지금 30-40대인 성인 아스피들은 아스퍼거 증후군 혹은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개념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던 시대에 성장기를 보낸 것입니다.
고기능 자폐라는 말 자체가 마음 이론의 부재, 결핍, 미발달이라는 부분을 제외하면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발달의 문제가 없다는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적 능력에서는 남들보다 특출한 능력을 발휘하는 경우도 적지 않기에, 그런 개념도 알려지지 않았던 시대에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즉, 아스퍼거 증후군을 성장기에 진단하고 알아차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었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공부만 잘하면 사회성이 조금 떨어지거나 미숙한 것은 크게 문제 삼지 않는 국내 정서상, 공부는 잘하지만 말수가 적거나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라고 해서 발달 장애를 의심하는 것은 상상하기 힘든 일이니까요.
또 실제로 누가 봐도 문제가 있어 보이는 자폐 증상을 보이는 경우와 아스퍼거 증후군은 상당히 차이가 있습니다. 학습 능력도 빠르기 때문에 부족한 사회성을 학습을 통해 커버하는 것도 어느 정도 가능합니다. 특히 이러한 학습을 통한 사회화는 나이가 들 수록 더 많이 갖춰지기 때문에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개념이 잘 알려져 있는 지금도 아직 미숙한 모습이 보이는 성장기가 아닌 성인을 진단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게다가 결혼해서 가정까지 이루고 있는 아스피라면 어느 정도 이런 사회화가 일반인과 비슷한 수준으로 발달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결혼을 해서 배우자처럼 아주 가까운 사이가 아니라면 적당한 인간 관계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을 수 있습니다) 아스피 본인이 스스로 자신이 자폐 스펙트럼일지 모른다고 생각한 경우는 드문 경우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많은 경우, 유전적인 영향으로 자녀에게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이 먼저 내려지고 나중에 아빠의 아스퍼거 증후군이 의심되어 진단을 받게 된다거나, 배우자가 관계에 문제를 느끼고 알아보던 과정에서 남편의 아스퍼거 증후군을 알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본인에게 자폐라는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한 번도 의심해 보지 않았고, 본인 스스로는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아스피가 의심되는 (진단 받기 전) 남편 (아스피 인구가 남성이 많다고 알려져 있고, 아스피 남편에 대한 사례가 많으므로 여기에서는 편의상 남편으로 서술하겠습니다.) 은 부인이 아스퍼거 증후군,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에 대해 이야기를 하며 진단을 권유해도 이를 원치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인이 조금 특이하거나 다르다고 느끼기는 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천재 소리를 들으며 자랐을 경우도 있을테고 꼭 그렇지 않더라도 남들과 별로 다르지 않게 잘 살아 왔는데 갑자기 본인에게 '자폐'라는 낙인을 찍는 것 같아 거부감이 들 수 있겠지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입장에서는 그 진단의 유무가 중요하지도 필요하지도 않다는 것입니다. '자기 중심성'이 큰 특성인 자폐 성향을 가진 아스피들은 자신에게 실익이 없거나 납득이 되지 않으면 동기부여가 어렵습니다. 이런 면이 배우자 입장에서는 '이기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인데, 자폐 성향을 이해하고 나면 덜 감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아스피 본인은 정형인보다 친밀한 인간 관계에 대한 욕구가 적기 때문에 부인은 외롭고 단절 되었다고 느껴도 현재 관계에 아무런 문제를 느끼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현재만을 살아가는 아스피의 특성상, 당장 실익이 없는 것 같은데 미래의 부부 관계를 위해 진단을 받아야 한다는 것도 설득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자신은 아스피라고 스스로 생각하지도 않는데 이걸 진단 받는다고 악화된 부부 관계가 좋아질 것 같지도 않고, 그걸 진단 받는 순간 낙인 찍히는 사람은 본인이라 자기만 손해가 아닌가 생각이 들 수 있겠죠. 게다가 진단 비용도 만만치 않아 그 비용을 지출할만한 실익이 없다고 생각할 가능성도 큽니다.
*진단비용이나 이외 진단 관련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neurodiversecouple.tistory.com/11
그렇게 실익이 없다는 판단을 한 번 내리게 되면 겪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아스피의 고집을 꺾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입니다. 아스피들의 고집은 정말 왠만한 고집과는 비교할 수 없거든요. 뇌의 회로 자체가 다르니 생각하는 방식이 너무 달라서 정형인의 뇌로는 그들을 설득할 수 있는 묘안이 왠만해서는 안 떠오르기 때문인 것 같아요.
단순히 실익이 없다는 정도가 아니라 나쁜 경우에는 자신을 공격한다거나, 자신을 깎아내리려는 것으로 받아 들여 방어적이거나 공격적으로 반응을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더 소통이 어려울 수 있겠지요.
제 경우에도 처음에는 남편이 거부반응을 보였던 문제, 그리고 그 부분을 극복하고 난 뒤에는 진단 자체가 실익이 없다고 생각해서 진단을 거부했던 문제가 진단을 받는 데 정말 큰 걸림돌이었습니다. 이 부분을 해결하는 데 거의 2년의 세월이 걸렸으니까요.
그런 아스피 남편의 쇠고집을 꺾고 진단을 받게 했던 이야기는 다음 편 <남편에게 진단을 받게 할 수 있을까?>에서 좀 더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남편의 아스퍼거 증후군이 의심되지만 남편의 거부, 부인, 진단 기피 등으로 더 답답한 마음이 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그런 분들에게 어느 정도는 당연한 반응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스피 본인과 정형인 배우자 모두에게 행복한 관계를 위해 필요한(적어도 저는 그렇게 믿어요) 진단을 받기 위해 너무 빨리 포기하지 마시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그럼 다음 편 이어지는 이야기로 또 찾아올게요.
'자폐스펙트럼 정보 >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영상]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특징들 - 자가진단 목록 포함 (0) | 2023.04.04 |
---|---|
[유튜브 영상]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이란? 아스퍼거 증후군이란? (0) | 2023.04.02 |
아스퍼거 증후군과 사랑에 대한 넷플릭스 리얼리티쇼 - 러브온더스펙트럼 (Love on the Spectrum), 아스퍼거 남편과 시청한 후기 (2) | 2020.08.28 |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진단 - 1편 (진단의 어려움) (4) | 2020.08.22 |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아스퍼거 증후군 (Asperger's Syndrome)이란 -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0) | 2020.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