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기능자폐스펙트럼56 [유튜브 영상] 카산드라 증후군이란? 카산드라 증후군이란? 지속적인 트라우마적 관계 증후군, 감정박탈증후군 증상과 원인에 대한 유튜브 영상을 공유했습니다. 카산드라 증후군의 심리적, 신체적 증상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니 현재 뉴로다이버스 커플 정형인으로서 겪고 계신 어려움들이 이에 해당하는지 확인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나아가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는 배우자의 어떤 점들이 정형인 배우자에게 지속적인 트라우마적 관계 증후군, 감정박탈증후군, 카산드라증후군을 야기할 수 있는지 그 원인들을 짚어 보고, 이해하기 쉬운 예시도 소개합니다. https://youtu.be/S79spvO9SKQ 2023. 4. 18. [유튜브 영상]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특징들 - 자가진단 목록 포함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의 특징들에 대한 유튜브 영상을 업로드 했습니다. 두 가지 버젼의 자가진단 목록도 포함한 영상이니 유익하게 정보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잠시 휴식 기간 동안 부지런히 영상을 만들어 업로드 중인데 초반에는 아스퍼거 증후군의 개념이나 특징들에 대해 먼저 다루고 앞으로 차차 제 개인적인 경험담 (남편의 진단 스토리, 제가 겪은 카산드라 증후군, 수년 간에 거친 심경 변화)에 대해 영상을 올릴 계획이에요. https://youtu.be/-Kajr_dUbjg 2023. 4. 4. [유튜브 영상]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이란? 아스퍼거 증후군이란? 새로 시작한 유튜브 채널에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아스퍼거 증후군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영상을 업로드했습니다. 수많은 뉴로다이버스 커플들이 입을 모아 이야기하는 것은 서로의 다름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긍정적인 관계 변화의 첫걸음이라고 합니다. 사실 뉴로다이버스 관계의 어려움과 극복 방법 등에 대해서도 아직 다루고 싶은 주제가 너무나도 많지만 아스퍼거 증후군의 개념에 대해서 먼저 영상을 제작한 것도 이 부분이 출발점이 아닐까 싶은 마음에서였어요. 나와 다른 배우자, 파트너를 있는 그래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정확히 아는 것에서 시작해야 겠지요? 바쁜 일상에 줄글 읽을 시간이 부족했던 분들이라면 영상을 통해 쉽게 정보를 접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https://youtu.b.. 2023. 4. 2. 이런 대화, 뉴로 다이버스 커플에게는 일상이에요. 불가능한 핑퐁대화. 핑퐁 대화가 되지 않는다.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의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제 남편도 함께 대화를 하려고 하면 정형인 입장에서는 너무 명백히 대화를 시작한 사람이 끌고 가고 싶은 방향이나 의도가 있는데도 전혀 그 부분을 눈치채지 못하거나 아랑곳하지 않고 엉뚱한 방향으로 대화를 몰고 가거나 요점을 흐트려서 이야기를 시작한 사람을 황당하게 하거나 화가 나게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편의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서 알기 전에는 이러한 부분들이 저를 굉장히 화나게 해서 바로 싸움이 나기 일쑤였었죠. 하지만 지금은 남편이 나쁜 의도는 없고 대화 하다가 하나 '꽂히는' 게 있으면 대화의 원래의 흐름이나 주제와 상관 없이 자기가 꽂힌 부분에 대해서만 생각하게 되는 다른 뇌 구조 때문에 그런 것을.. 2022. 10. 13. 배우자/파트너가 아스퍼거라는 것을 어떻게 이야기 할까요? - 2편 지난 편 연재에서는 배우자/파트너가 아스퍼거라는 생각이 들 때, 이를 이야기해야 할지에 대한 이야기를 제 경험담과 함께 풀어 보았는데요. https://neurodiversecouple.tistory.com/62 배우자/파트너가 아스퍼거라는 것을 어떻게 이야기 할까요? - 1편 배우자/파트너가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배우자/파트너의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서 말해야 할까요? 말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 블로그를 읽어 보시고 공감 후 댓글을 neurodiversecouple.tistory.com 오늘 연재에서는 Mark Hutten 이 이야기하는 배우자의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 이야기하는 팁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뉴로다이버스 관계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서 아는 것은 정말 가장 .. 2022. 7. 28. 배우자/파트너가 아스퍼거라는 것을 어떻게 이야기 할까요? - 1편 배우자/파트너가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배우자/파트너의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서 말해야 할까요? 말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 블로그를 읽어 보시고 공감 후 댓글을 남겨주시는 많은 분들이 종종 이런 질문들을 주시는데요. 우선 상대방이 본인의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서 모르고 있는데 무언가 관계에서 발생한 문제 때문에 검색하다가 이 블로그를 보게 되었고, 읽을수록 상대방이 아스퍼거 증후군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 같아요. 여러 번 본 블로그 글에서 언급했지만, 아직까지 성인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하고, 성인이 될 때까지 본인의 아스퍼거에 대해서 모르고, 진단도 받지 못한 경우가 정말 많기 때문이죠. 흔히 아스퍼거 증후군이나 자.. 2022. 7. 27. 이전 1 2 3 4 ··· 10 다음 반응형